쓰레기 무단투기 신고 방법 총정리|생활불편신고 앱과 이피플로 빠르게 해결하는 법

🚮 쓰레기 무단투기, 더는 참지 말고 바로 신고하세요

우리 동네를 지저분하게 만드는 무단 쓰레기 투기, 그냥 지나치기만 하셨나요?
이제는 온라인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 생활불편신고 앱과 국민신문고 '이피플' 사이트를 활용하면 빠르고 정확한 조치가 가능합니다.


📌 빠르게 정리하는 신고 방법 2가지

신고 방법 접속 경로 장점
국민신문고 (이피플) www.epeople.go.kr PC/모바일 모두 가능, 접수번호 확인
안전문신고 앱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 검색 위치 기반, 현장 신고에 최적

📱 안전신문고 앱 다운로드 링크

운영체제 앱스토어 다운로드 링크
Android Google Play ▶ 설치하러 가기
iOS App Store ▶ 설치하러 가기

💡 안전신문고 앱은 생활안전, 환경, 시설물, 교통 등 다양한 민원을 통합 신고할 수 있는 정부 공식 플랫폼입니다.


🧾 안전신문고 앱 신고 절차 (요약)

  1. 앱 실행 후 ‘생활불편’ 선택
  2. ‘생활불편신고’ 메뉴 클릭
  3. 카테고리 중 ‘쓰레기/폐기물’ 선택
  4. 증거 사진 또는 영상 업로드
  5. 위치 지정 (지도 기반)
  6. 내용 작성 + 연락처 입력
  7. ‘제출’ 버튼 클릭으로 완료

💡 사진은 현장 식별 가능하도록 전체 풍경 포함이 좋으며,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.

 

📸 신고에 효과적인 사진 예시

  • ✔️ 좋은 예: 거리와 위치 식별 가능 + 투기 장면 명확
  • ❌ 나쁜 예: 너무 가까운 사진 / 인물 식별되는 사진
  • 💡 건물 간판, 지번 표시 포함 사진이면 베스트

영상 첨부도 가능하며, 반복 행위가 담긴 경우 민원 신뢰도가 높아집니다.


⚖️ 과태료 기준 요약

위반 행위 과태료
생활쓰레기 무단 투기 10~100만 원
재활용 혼합 배출 5~30만 원
대형폐기물 방치 30~100만 원
도로변 불법 투기 20~50만 원

※ 1회라도 명확한 위반 시, 즉시 과태료 부과 가능


📍 이런 상황이라면 바로 신고하세요

  • 공원, 골목길 등 공공장소 쓰레기 투기
  • 상가 주변 대량 투기 or 상습 불법 배출
  • 건축자재, 폐가전 등 방치
  • 비닐/스티로폼 포장재 무단 배출

이 모든 경우는 신고 대상이며 환경법 위반에 해당합니다.


✅ 신고 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

  • 🏡 동 주민센터 자율 청소 프로그램 참여
  • 👀 환경 감시단 모집 공고 체크
  • 📸 인스타그램, 지역 커뮤니티 제보 공유
  • 📝 맘카페·동네 앱에 정보 확산

깨끗한 환경은 한 사람의 신고에서 시작됩니다. 무단투기를 봤다면, 바로 행동하세요!



📢 지금 바로 신고하러 가기

 

이제는 더 이상 참고만 하지 마세요.
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
📌 함께 보면 좋은 글




다음 이전